예금 보호 한도, 24년 만에 2배로 UP!
2025년 9월 1일부터 예금 보호 한도가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됩니다. 이는 2001년 이후 24년 만의 획기적인 변화입니다. 금융 회사가 파산하는 등 예금 지급 불능 사태 발생 시, 여러분의 소중한 예금을 최대 1억원까지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여러 금융회사에 5000만원씩 쪼개어 예치할 필요 없이, 더욱 편리하게 자산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금융 시장의 안정성 또한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영장, 헬스장도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
7월부터는 수영장이나 헬스장 시설 이용료도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 70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이용료의 3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퍼스널 트레이닝(PT) 비용과 헬스장 이용료가 함께 청구되어 비용 구분이 모호한 경우에는 전체 금액의 50%가 시설 이용분으로 계산됩니다. 건강도 챙기면서 세금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 놓치지 마세요!
모바일 신분증, 이제 더 쉽고 편리하게!
하반기부터는 모바일 신분증을 네이버, 토스, 국민은행, 농협은행, 카카오뱅크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다양한 신분증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발급받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 절차와 방법은 정부 앱과 동일하며, 안전성, 신뢰성, 법적 효력 또한 정부 앱에서 발급받은 모바일 신분증과 동일하게 인정됩니다. 이제 지갑 없이도 신분증을 휴대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가계 대출 규제 강화: 스트레스 DSR 전면 시행
가계 대출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7월 1일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전면 시행됩니다. 스트레스 금리가 1.5%로 상향 적용되며, 혼합형 및 주기형 대출에는 고정금리 또는 금리변동 주기에 따라 최대 80%, 40%의 스트레스 금리가 적용됩니다. 다만, 수도권 주택 구입용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묶여 있어, 3단계 스트레스 DSR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양육비, 이제는 든든하게!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 제도가 시행됩니다.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 가족에게 국가가 양육비를 먼저 지급하고, 비양육자에게 이를 회수하는 제도입니다.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의 자녀 1인당 월 20만원이 18세까지 지급됩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든든한 지원책입니다.
2025년 하반기, 놓치면 후회할 정책들을 한눈에!
2025년 하반기부터 예금 보호 한도 상향,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모바일 신분증 발급 확대 등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됩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정책 및 제도 160건을 담은 자료집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공 도서관, 교정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전용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정책들을 꼼꼼히 확인하고, 똑똑하게 혜택을 누리세요!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예금 보호 한도 상향은 모든 금융회사에 적용되나요?
A.네, 예금 보호 한도 상향은 금융회사, 상호금융 조합, 금고 등 예금자 보호 대상 금융기관에 모두 적용됩니다.
Q.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어떤 종류의 시설 이용료에 적용되나요?
A.수영장, 헬스장 등 체력 단련 시설 이용료에 적용되며, PT 비용도 포함됩니다. 비용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헬스장 이용료로 간주되어 50%가 공제됩니다.
Q.모바일 신분증은 기존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나요?
A.네,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 앱에서 발급받은 경우 기존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천억 투자 사기, 글로벌골드필드 대표 구속…'AI 기술' 믿었던 투자자들 충격 (0) | 2025.07.01 |
---|---|
지아이이노베이션, 공매도에 '정면승부'… 면역항암제 GI-102의 자신감 (1) | 2025.07.01 |
검찰총장 심우정, 전격 사의 표명: 대한민국 사법 시스템에 드리운 그림자 (0) | 2025.07.01 |
5천 원 점검비에 '돌았어?'…자녀 앞 폭언 아빠, 분노의 그림자 (1) | 2025.07.01 |
이재명 대통령의 국회 존중 강조: 국민 주권과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안 (1)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