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2주 만에 2억 급등! '마·성·광' 들썩이는 이유: 부동산 시장의 숨겨진 이야기

by Big News 2025. 9. 18.
반응형

9.7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의 반격

9.7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새 0.12% 오르며 2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습니다. 주택 공급 대책 발표 후 가격 조정을 기다리던 수요가 매매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특히 마포·성동·광진구 등 한강벨트와 재건축 기대가 있는 성남시 분당구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한강벨트, 급등의 중심에 서다: 마·성·광의 현재

18일 한국부동산원이 9월 셋째 주(9~15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새 0.12% 올랐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6개에서 가격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특히 마·성·광(마포·성동·광진구)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성동구 아파트 가격은 0.41% 올라 전주(0.27%) 대비 상승폭이 0.14%포인트 상승했을 뿐 아니라 4주 연속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마포구도 0.28% 올라 4주째 상승폭이 커졌고 광진구는 0.25% 올라 2주 연속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그리고 시장의 반응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연구원은 “9.7대책으로 추가적인 가격 조정을 기대했던 잠재적 매수자들이 일부 매매 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마포·성동·광진·강동·동작구 등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이 아니면서도 강남3구 다음으로 선호하는 지역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17일 강남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허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면서도 마성광 등으로 토허구역을 확대하진 않았습니다. 9.7대책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토허구역 지정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추진되면서 토허구역 추가 지정에 대한 우려가 마성광 등 한강벨트 지역을 선제적으로 매수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뜨거운 감자, 강남 3구의 현황

강남3구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0.17%, 0.19% 올라 1~2주 만에 상승폭이 커졌으라 강남구는 0.12% 오르는 데 그쳐 한 주 만에 상승폭이 축소됐습니다. 용산구도 0.12% 올라 한 두 만에 상승폭이 줄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 또 다른 움직임

수도권도 0.04% 올라, 2주째 상승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0.04% 올라 2주 연속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인천은 0.01%에서 0.03%로 가격 상승폭이 커졌고, 경기는 0.03%로 전주와 같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0.02% 올라 2주 연속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지방은 0.01% 하락해 전주(-0.02%) 대비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5대 광역시는 0.02% 올라 전주와 상승폭이 같았습니다. 세종시는 0.14% 올라 전주(0.26%) 대비 상승폭이 줄었습니다.

 

 

 

 

전세 시장의 변화

한편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올라 전주와 같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도 각각 0.07%, 0.04% 올라 전주와 같은 상승폭을 보였고 지방도 0.01% 올라 전주와 같았습니다. 서울 서초구의 경우 메이플자이 등 대규모 단지 입주로 전세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이달 들어 상승 전환하며 9월 셋째 주 0.06% 올랐습니다.

 

 

 

 

핵심만 콕!

9.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특히 마포·성동·광진 등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이 두드러집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강남 3구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전세 시장 역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독자들의 Q&A

Q.9.7 대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9.7 대책은 주택 공급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가격 조정을 기대하던 수요를 매매 시장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Q.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정되지 않은 지역은 반사이익을 얻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마포·성동·광진구 등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며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Q.전세 시장의 전망은 어떤가요?

A.전세 시장은 전국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와 같이 대규모 단지 입주로 일시적인 하락세를 보이다가 상승 전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전세 가격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