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싱크탱크 CEPR의 날카로운 비판
미국 진보 성향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센터(CEPR)가 한국 정부의 대미 투자 약속을 '터무니없이 어리석은 결정'이라고 평가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관세 인하를 위해 3500억 달러(약 488조 원)를 투자하기로 한 한국 정부의 결정에 대해, CEPR는 실익이 없으며 오히려 수출 기업과 노동자를 지원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주장했습니다. CEPR 선임경제학자 딘 베이커는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타결한 무역 합의를 '신을 모독할 정도로 어리석은 짓'이라고 표현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습니다.
불공정한 거래: 3500억 달러 투자, 그 실체는?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상호 관세율 인하를 얻는 대신,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CEPR는 이 거래가 불합리하다고 지적합니다. 베이커는 관세율이 다시 25%로 오를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 감소액을 125억 달러로 추산하며, 이는 한국 GDP의 0.7%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한국이 왜 125억 달러 수출을 지키려고 3500억 달러를 트럼프에게 주려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하며, 트럼프가 요구하는 금액의 20분의 1만 사용해도 수출 감소로 인한 피해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신, 거래 거부의 주요 이유
CEPR은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거래를 반대하는 주요 이유로 꼽았습니다. 베이커는 "트럼프는 합의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언제든지 말을 바꿔 더 많은 돈을 요구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트럼프가 언제든지 합의를 뒤집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의 변덕스러운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이는 트럼프와 비즈니스를 해 본 경험자들의 교훈을 통해 뒷받침됩니다.
안보 논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군사적 지원을 얻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안보 논리에 대해서도 CEPR은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베이커는 한일 지도자들이 트럼프를 믿고 중국의 군사 행동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된 판단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아메리카 퍼스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한국과 일본이 중국과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CEPR의 결론: 현명한 선택은 무엇인가?
CEPR은 결국 한국과 일본 지도자들이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트럼프에게 수천억 달러를 건네줄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베이커는 이 결정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하며, "그들이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습니다. CEPR의 비판은 한국 정부의 대미 투자 결정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며, 보다 신중한 접근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미국 싱크탱크 CEPR은 한국 정부의 대미 투자 결정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며, 불공정한 거래이며 실익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신과 안보 논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수출 기업 지원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CEPR은 한국 정부가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거액을 지불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신중한 결정을 촉구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CEPR은 왜 한국의 대미 투자를 비판했나요?
A.CEPR은 한국 정부의 대미 투자가 불공정한 거래이며,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관세 인하 효과보다 훨씬 큰 금액을 투자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성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Q.CEPR이 제시하는 대안은 무엇인가요?
A.CEPR은 관세 인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는 수출 기업과 노동자를 지원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에게 거액을 지불하는 대신, 국내 경제를 위한 투자가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Q.이번 CEPR의 비판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이번 CEPR의 비판은 한국 정부의 대미 투자 결정에 대한 국제적인 우려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미국의 정책 변화 가능성과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성 문제를 다시 한번 제기하며, 보다 신중하고 합리적인 외교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 총리, 민주당 '투톱' 정청래·김병기와 만찬 회동…갈등 봉합 시도 (0) | 2025.09.14 |
---|---|
전두환 유해, 자택 봉안 검토…4년째 유골함에, 봉안 장소는 어디로? (0) | 2025.09.14 |
조국혁신당,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시작: 여성 중심 비대위 출범과 혁신의 약속 (0) | 2025.09.14 |
사도광산 추도식, 일본 내에서도 '모욕' 논란… 한일 관계에 드리운 그림자 (0) | 2025.09.14 |
법인카드, 유흥업소 6천억 결제… 룸살롱 3200억 휩쓸다 (0)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