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백수, '묻지마 범죄'로 여대생 31차례 흉기, 대한민국 향한 분노가 부른 비극
사건의 시작: 이유 없는 비극
2014년 7월 27일, 울산의 한 버스 정류장에서 23세 장모씨는 18세 여대생 A양에게 흉기를 휘둘렀습니다. 친구들과 생일 파티를 마치고 귀가하던 A양은, 아무런 이유 없이 31번이나 칼에 찔려 결국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은 평범한 일상 속에서 벌어진 '묻지마 범죄'로,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범행의 순간: 짧은 시간, 멈출 수 없는 폭력
사건은 오전 6시경, 순식간에 벌어졌습니다. A양이 버스를 기다리는 찰나, 장씨는 미리 준비한 흉기로 A양을 공격했습니다. 목격자들은 즉시 경찰에 신고했고, 범인은 현장에서 500m 떨어진 곳에서 체포되었습니다. 그러나 A양은 양쪽 폐와 간이 손상되고 출혈이 심해 결국 사망했습니다.

범인의 진술: 대한민국에 대한 분노
경찰 조사에서 장씨는 충격적인 진술을 했습니다. 그는 "대한민국이 싫다. 나 혼자 죽기 그렇고 누구 하나 같이 죽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건 전날, 아버지와의 술자리에서 경제적인 어려움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토로하며 극심한 좌절감을 느꼈고, 이는 무차별적인 범행으로 이어졌습니다.

법원의 판결: 심신 미약 인정 거부
장씨는 법정에서 만취로 인한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재판부는 범행의 잔혹성, 도주 행위, 그리고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진술 등을 근거로 장씨가 자신의 행위를 통제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장씨는 징역 2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항소와 확정: 잃어버린 생명, 남겨진 상처
장씨는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원심과 같은 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재판부는 A양이 이유도 모른 채 생명을 잃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족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준 이 사건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 사건은 사회 전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습니다.

사건의 의미: 묻지마 범죄의 심각성
이 사건은 '묻지마 범죄'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점은, 이러한 범죄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공포를 안겨줍니다. 사회적 안전망의 중요성과,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절실함을 보여줍니다.

핵심만 콕!
2014년 발생한 '묻지마 범죄'는 대한민국을 향한 분노로 여대생을 31번이나 찌른 사건입니다. 징역 25년이 선고되었지만, 잃어버린 생명과 남겨진 상처는 여전히 깊습니다. 이 사건은 사회적 안전망과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관심을 촉구합니다.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
Q.피해자와 가해자는 어떤 관계였나요?
A.피해자와 가해자는 일면식도 없는 사이였습니다. '묻지마 범죄'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의미합니다.
Q.가해자는 왜 이런 범행을 저질렀나요?
A.가해자는 대한민국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자신의 좌절감과 분노를 표출하기 위해 범행을 저질렀습니다. 아버지와의 갈등 역시 범행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습니다.
Q.법원은 왜 심신미약을 인정하지 않았나요?
A.법원은 가해자의 범행 수법, 도주 행위, 그리고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진술 등을 근거로, 가해자가 자신의 행위를 통제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