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만원 'Z플립7' 공짜폰? 휴대폰 성지 '파격 조건' 꼼꼼히 따져봐야
갤럭시 Z폴드·플립7 출시, '성지'에서 파격가 등장
갤럭시Z폴드·플립7 국내 출시와 함께 휴대폰 '성지'에서 파격적인 조건의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특히 갤럭시Z플립7(256GB)을 '공짜폰'으로 판매하는 곳도 등장하여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에는 특정 통신사로의 번호이동, 6개월간의 고가 요금제 사용, 부가 서비스 이용 등의 조건이 따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기만 변경하는 경우에는 20~30만원대에 구매가 가능하며, Z플립7의 삼성닷컴 판매 가격(256GB 148만5000원, 512GB 164만3400원)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입니다.
통신사별, 기종별 '성지' 판매가 분석
Z플립7(256GB)의 경우, 번호이동 시 통신사에 따라 7만원에서 23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으로 이동 시 7만원, KT 21만원, LG유플러스 9만원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기기 변경만 할 때는 SK텔레콤 43만원, KT 23만원, LG유플러스 39만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일부 성지에서는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 시 25만원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Z폴드7(256GB)은 현금 '페이백'이나 공짜폰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최저 가격은 49만원대로 확인되었습니다. 번호이동 기준 중위값은 SK텔레콤 125만원, KT 120만원, LG유플러스 115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로 인해 시장 과열이 우려되면서,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다음 달까지 집중 모니터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유통점은 이동통신 계약 시 지원금 지급 주체 및 방식, 요금제, 부가서비스 이용 조건, 결합 조건 등을 계약서에 상세히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지원금 정보를 오인하게 하거나 특정 통신사·제조사의 요금제·서비스를 강요하는 행위는 여전히 금지됩니다. 이통사로부터 판매 권한을 승낙받은 사실도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호갱' 되지 않으려면? 휴대폰 '성지'에서 주의할 점
휴대폰 '성지'에서 '호갱'을 피하려면 몇 가지 주의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 첫째, 쓰던 휴대폰을 반납하는 '기기 반납' 조건을 요구하는 곳은 피해야 합니다. 중고폰은 직접 판매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둘째, 24개월을 초과하는 약정 기간 설정은 피해야 합니다. 셋째, 할부원금이 일반 판매가보다 높게 책정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넷째, 요금을 먼저 납부한 후 '추후 페이백'을 약속하는 곳은 의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세표와 달리 명확한 판매가를 안내하지 않고 '일단 매장으로 오라'고 유도하는 곳은 주의해야 합니다.
방통위의 시장 점검 및 향후 계획
방통위는 서울 강변테크노마트 휴대폰 집단상가를 방문하여 단통법 폐지 이후 시장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지원금 등 계약 내용 고지 및 계약서 명시 사항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불법·편법 영업을 막기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신승한 방통위 시장조사심의관은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정부가 세심하게 살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핵심 요약: Z플립7 '공짜폰' 혜택, 꼼꼼히 따져보고 '호갱'은 피하세요!
갤럭시Z폴드·플립7 출시와 함께 휴대폰 '성지'에서 파격적인 가격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Z플립7을 공짜폰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숨겨진 조건들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통신사, 요금제, 부가 서비스, 약정 기간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호갱'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방통위의 시장 감시 강화와 함께, 소비자들이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휴대폰 성지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A.쓰던 휴대폰을 반납하는 '기기 반납' 조건, 24개월 초과 약정, 과도한 할부원금, '추후 페이백' 약속, 불분명한 판매가 제시 등입니다.
Q.단통법 폐지 후 휴대폰 구매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A.지원금, 요금제, 부가 서비스, 결합 조건 등을 계약서에 상세히 명시하는지 확인하고, 불법적인 판매 행위에 유의해야 합니다.
Q.방통위의 시장 감시 계획은 무엇인가요?
A.불법·편법 영업을 막기 위해 유통점의 계약 내용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