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홈플러스 폐점, 누구를 위한 '긴급 생존'인가? 직원과 상인들의 절규

Big News 2025. 9. 6. 10:24
반응형

갑작스러운 폐점 통보, 직원들의 불안감 증폭

지난달 13일 오후 2시 반쯤, 경기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원천점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긴급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지역 본부장의 갑작스러운 소집에 직원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설명회에서는 회사의 경영 환경 악화와 매출 감소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고, 이내 충격적인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우리 점포 영업 종료일은 11월 16일로 결정됐습니다.”

 

 

 

 

15개 점포 폐점, '긴급 생존'의 그림자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 경영' 체제 돌입을 발표하며, 수원 원천점을 포함한 15개 점포의 폐점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건물 임대료 조정 협상 실패가 주요 원인으로, 전체 점포의 12%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홈플러스 측은 과도한 임대료로 인한 적자 심화를 이유로 들며, 임대료 조정을 요구했지만, 협상이 결렬되면서 폐점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습니다.

 

 

 

 

고용 보장 약속, 그러나 현실은…

홈플러스는 폐점에도 불구하고 고용을 보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근 점포로의 발령과 위로금 지급, 그리고 퇴직자에 대한 고용안정지원금 지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직원들이 많습니다. “처음엔 막 화가 나다가, 나중엔 걱정하다가… 지금은 포기한 상태예요.” 11월 폐점이 확정된 홈플러스 인천 계산점 직원 A 씨의 말처럼, 새로운 근무지로의 이동에 따른 어려움과 경제적인 부담은 직원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상인들의 절망, 생존의 벼랑 끝

폐점은 직원들뿐만 아니라, 입점 상인들에게도 '날벼락'과 같은 소식이었습니다. 대부분 직원보다 늦게 폐점 통보를 받았으며, 보상 문제 또한 불투명합니다. 홈플러스는 상인들과 개별 보상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지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상인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전재산 투자했는데 날벼락…보상안 터무니없어”라는 상인들의 절규는 이들의 절박한 심정을 대변합니다.

 

 

 

 

MBK의 무책임 논란과 정치권의 역할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직원들은 MBK가 경영 실책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구조조정을 통해 이익을 챙기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합니다. 노조는 MBK의 책임을 묻고,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무책임한 MBK, 정치권이 나서 달라”는 상인들의 간절한 호소는,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잃은 사람들, 무엇을 해야 할까?

홈플러스 폐점 사태는 기업의 생존 논리 앞에서 희생당하는 직원들과 상인들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고용 보장과 보상 문제, 그리고 MBK의 책임 회피 논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이들의 절망을 외면하지 않고,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시급합니다.

 

 

 

 

홈플러스 폐점, '생존' 뒤에 가려진 그림자

홈플러스의 15개 점포 폐점은 직원과 상인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고용 불안, 불투명한 보상, 그리고 MBK의 무책임 논란까지, 이들은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렸습니다. 이 사태는 기업의 '긴급 생존'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그리고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

Q.홈플러스는 왜 폐점을 결정했나요?

A.과도한 임대료로 인한 적자 심화와 임대료 조정 협상 실패가 주요 원인입니다.

 

Q.폐점하는 점포의 직원들은 어떻게 되나요?

A.홈플러스는 고용을 보장하며, 인근 점포로의 발령, 위로금 지급, 고용안정지원금 지급 등을 약속했습니다.

 

Q.입점 상인들의 보상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A.홈플러스는 개별 보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제대로 된 보상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