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재계 '멘붕'… '원팀' 외침 무색, 잇따른 기업 압박 법안 통과에 망연자실

Big News 2025. 8. 25. 20:19
반응형

혼란스러운 재계: '원팀' 외침과 상반된 입법 기조

최근 국회를 통과한 2차 상법 개정안으로 인해 재계가 깊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특히, 정부가 '원팀 코리아'를 외치며 기업 친화적인 메시지를 내놓은 것과는 반대로, 국회에서는 기업 경영을 압박하는 법안들이 연이어 통과되면서 기업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재계가 대외적으로 투자 확대를 요구받는 동시에 경영권에 대한 제약을 받는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2차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재계의 우려

2차 상법 개정안은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에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고, 분리선출 감사위원을 2명으로 늘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까지 확대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보이지만, 재계는 소수 지분을 가진 외국계 행동주의 펀드 등이 경영권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영권 분쟁 및 소송 리스크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노란봉투법 통과와 재계의 상실감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에 이어 2차 상법 개정안까지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재계는 더욱 큰 상실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한·미 정상회담 지원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사이, 재계가 반대해 온 법안들이 연이어 처리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정부와의 협력 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재계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 등 경제 8단체는 상법 개정안 통과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입법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경영권 방어장치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정부와 재계의 엇갈린 신호: 혼란의 근원

이재명 대통령은 경제단체 및 기업인 간담회에서 기업 친화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원팀 코리아'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메시지와는 상반되게, 국회에서는 기업 경영을 제약하는 법안들이 통과되면서 재계는 정부의 진정한 의도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재계는 정부가 대외적으로는 투자를 확대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동시에 경영권을 제약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모순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재계 관계자들의 반응: 불확실성 해소 촉구

재계 관계자들은 정부의 엇갈린 신호로 인해 기업 활동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대외적으로는 기업의 투자 확대를 요구하면서 국회에서는 경영권을 제약하는 법안이 쏟아지니 어느 기조를 맞춰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상황”이라고 토로했습니다. 이들은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보완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과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핵심 요약: 재계의 불안과 혼란

재계는 '원팀' 구호에도 불구하고 잇따른 기업 압박 법안 통과로 인해 깊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정부의 친기업 메시지와는 상반된 국회의 입법 기조, 경영권 위협에 대한 우려, 그리고 불확실성 증폭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재계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재계는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과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마련을 간절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2차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A.2차 상법 개정안은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에 집중투표제 의무화, 분리선출 감사위원 2명으로 확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Q.재계가 2차 상법 개정안에 대해 우려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A.재계는 소수 지분 외국계 행동주의 펀드 등에 의해 경영권이 위협받을 수 있으며, 경영권 분쟁 및 소송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Q.재계가 정부에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요?

A.재계는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과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마련,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보완 조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