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난카이 대지진' 현실화? 한반도 흔들림과 고층 건물의 위험
지진 공포, 현실이 될까?
최근 일본에서 '난카이 대지진설'이 확산하면서, 이 지진이 실제 발생할 경우 한반도가 30㎝ 넘게 흔들리고 고층 건물들이 위험해지는 등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하여 이러한 우려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지진의 영향은 단순히 일본에 국한되지 않고, 한반도까지 광범위하게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철저한 대비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난카이 해구, 거대한 위협
난카이 해곡은 일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규슈 앞바다까지 800㎞에 이르는 지역으로, 100~150년 주기로 규모 7~8의 대지진이 발생해 왔습니다. 마지막 지진이 1944년과 1946년에 발생했기에, 현재는 언제 대지진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홍 교수는 특히 규슈 앞바다 지역이 300년 가까이 지진이 없어, 많은 응력이 쌓여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러한 난카이 해곡의 지진 위험성은 단순한 예측을 넘어,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반도, 지진의 영향권
홍태경 교수는 만약 난카이 해구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발생하면, 1000㎞ 내에 있는 우리나라 한반도 전역의 고층 건물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3월 미얀마 지진으로 1000㎞ 밖 태국 방콕의 고층 건물이 피해를 입은 사례와 유사합니다. 지진 규모가 커지면 저주파 에너지가 많이 발생하고, 이 에너지는 고층 건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944년과 1946년 지진 당시에는 고층 건물이 없었지만, 현재는 상황이 다르기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언서와 지진 우려 증폭
최근 일본에서는 유명 만화가 다쓰키 료의 '내가 본 미래'라는 만화책이 대지진 우려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 책에는 '2025년 7월 5일 대지진이 발생해 동일본 대지진 때보다 3배 높은 쓰나미가 일본 서남권을 덮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여기에 지난달 하순부터 도카라 열도 쪽에서 1천 회가량의 지진이 발생한 것도 불안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언과 잦은 지진 발생은 대지진에 대한 공포심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도카라 열도 지진과 연관성
홍 교수는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면 다른 지역에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속설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현상이 매우 이례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판의 경계부에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짧은 시간 안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해당 지역에 많은 응력이 쌓여 있고 힘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난카이 해곡의 단층대를 더욱 약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지진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난카이 대지진의 가능성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우리는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비상 상황에 대비한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고층 건물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지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불안감을 해소해야 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진 방재 시스템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의 노력으로, 지진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핵심만 콕!
일본 난카이 해구에서 발생 가능한 대지진이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진 시 한반도 흔들림, 고층 건물 위험, 예언서와 잦은 지진 발생 등 다양한 요인들이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진 발생에 대비하여 안전 의식을 높이고, 정부와 함께 지진 방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난카이 대지진은 언제 발생할 가능성이 있나요?
A.난카이 해곡은 100~150년 주기로 대지진이 발생해 왔으며, 현재는 언제 지진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대지진 발생 확률을 높게 보고 있으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Q.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난카이 해구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한반도 전역의 고층 건물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은 물론, 건물 붕괴의 위험도 존재합니다.
Q.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A.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비상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고층 건물의 안전 점검을 확인하고, 지진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