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은 스쳐가고, 연금은 턱없이 부족… 대한민국, 은퇴 후에도 쉴 수 없는 현실
OECD 최고령 노동 국가, 한국
대한민국 노인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늦게까지,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하는 즐거움'보다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고령화 사회, 멈추지 않는 노동
2025년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가 20.3%에 달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65세 이상 고용률은 37.3%(2023년 기준)로 OECD 평균 13.6%를 훌쩍 뛰어넘어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25.3%)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73.4세까지 일하고 싶다
통계청 조사 결과, 한국의 고령층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에 달했습니다. 이들이 일을 계속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54.4%)'였습니다. '일하는 즐거움(36.1%)'이나 '무료함 달래기(4.0%)'보다 생계형 근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66만원 연금, 턱없이 부족한 현실
2024년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약 66만원에 불과합니다. 이는 같은 해 1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인 134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소득 공백의 늪
법적 정년과 실제 퇴직 연령 사이의 괴리에서 오는 '소득 공백기'도 문제입니다. 현재 법적 정년은 60세지만 주된 일자리에서의 평균 퇴직 연령은 52.9세(2025년 기준)에 불과합니다. 반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는 1961~1964년생의 경우 63세, 19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로 점차 늦춰지고 있습니다. 직장에서 물러난 뒤 연금을 손에 쥐기까지 최소 10년 이상의 '보릿고개'를 겪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고령층 노동력 활용의 필요성
한국의 고령자들은 연금이 있어도 일을 해야 하고, 연금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기 위해서라도 일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보고서는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고령층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대한민국, 은퇴는 사치인가?
OECD 최고령 노동 국가라는 불명예와 턱없이 부족한 연금, 그리고 긴 소득 공백기. 대한민국은 은퇴 후에도 쉴 수 없는 현실에 놓여 있습니다. 고령층의 생존을 위한 노동은 이제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한국 노인들이 늦게까지 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가장 큰 이유는 부족한 연금으로 인해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서입니다.
Q.한국의 고령화 사회는 어느 정도 진행되었나요?
A.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20.3%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Q.노인 일자리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A.부족한 연금 수준을 개선하고, 고령층의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