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노원 아파트, '반토막' 아픔 딛고 재건축 청신호! 5단지, 희망을 쏘다

Big News 2025. 8. 24. 11:11
반응형

재건축, 험난했던 여정의 시작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상계주공5단지'는 재건축을 가장 먼저 추진했으나, 2023년 GS건설과의 계약 해지 이후 사업이 난항을 겪으며 주민들의 시름이 깊어졌습니다. 3.3㎡당 650만원의 공사비에 대한 이견으로 계약이 해지된 후, 공사비를 인상하여 시공사 찾기에 나섰지만, 건설사들의 외면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근 지역 재건축 단지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노원구 전체의 재건축 열기를 위축시켰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화 건설부문의 참여로 상황은 반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한화 건설부문, 구원투수로 등판

2차 시공사 입찰에 한화 건설부문이 단독으로 참여하면서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9월 말 소유주 전체 회의에서 시공사 수의계약을 두고 찬반 투표가 진행될 예정이며, 찬성으로 결정되면 신속하게 수의계약을 추진하여 재건축 사업의 속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한화 건설부문은 3.3㎡당 720만원 수준의 공사비를 제시하며 소유주들의 분담금 부담을 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그동안 침체되었던 상계주공5단지의 실거래가 또한 소폭 반등하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통의 시간, 그리고 기다림

상계주공5단지 주민들은 그동안 재건축 사업 지연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한때 8억원까지 치솟았던 전용 31㎡ 실거래가가 4억 3800만원까지 하락하는 등, 금전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고통도 컸습니다. 인근 중개사들은 상계주공5단지 주민들을 '죄인'에 비유하며, 사업 지연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했습니다. 수년간 이어진 사업 지연은 주변 아파트 가격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며, 지역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침체시켰습니다.

 

 

 

 

분담금 부담 완화, 사업 추진의 희망

서울시의 '보정계수 제도' 도입으로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의 분담금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보정계수 제도는 일반분양 물량을 늘려 분담금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며, 임대주택 수를 줄이고 일반분양 물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사업 계획이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1인당 분담금을 약 1억원가량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재건축 사업 추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재건축, 노원구 부동산 시장의 활력

상계주공5단지의 재건축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노원구 전체의 재건축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노원구에는 1980년대 지어진 노후 아파트들이 많아 재건축 수요가 높지만, 사업성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단지들이 많습니다. 상계주공5단지가 시공사를 확보하고 재건축 동력을 되찾는다면, 노원구 전체의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침체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성공을 향한 희망의 불씨를 지피다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은 시공사 확보, 분담금 감소, 그리고 주변 단지들의 기대 속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희망의 불씨가 노원구 전체의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의 현재 상황은 무엇인가요?

A.한화 건설부문이 시공사로 참여하여 9월 말 소유주 투표를 앞두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가 예상됩니다. 분담금 감소와 실거래가 소폭 반등 등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Q.분담금은 얼마나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요?

A.서울시의 보정계수 제도 도입으로 인해 1인당 분담금이 약 1억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Q.상계주공5단지 재건축이 노원구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상계주공5단지의 성공적인 재건축은 노원구 전체의 재건축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침체된 부동산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